자유게시판

Home/친목의장/자유게시판
Re : 제1회 둔촌이집문학상 기사보냅니다
  • 등록일 : 2018/09/28
  • |
  • 조회수 : 850


 한철수 기자님 !

 "둔촌이집문학상" 시상식 기사

올려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좋은글,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광주이씨 대종회 문화유사]

 








------------------- 원문내용 -------------------

안녕하세요!

지난 17일 함춘회관에서 우연히 알게되어 

제1회 둔촌이집문학상 취재를 하게 됐습니다.

기사를 올려드리니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구리문인협회 전지부장

경기인터넷뉴스 보도위원

한철수 올림

 

빠른뉴스 바른뉴스 경기인터넷뉴스

제1회 둔촌 이집 문학상 홍성암 소설가(본상) 한새빛 시인(우수상) 수상

고려말 성리학자 이집(李集) 효행과 충절심을 기려 제정...광주이씨대종회와 한국작가 공동주관

기사입력시간 : 2018/09/21 [21:10:00]

한철수기자

[문학=경기인터넷뉴스] 옛 광주를 본향으로 하는 둔촌(遁村) 선생의 효행과 충절을 기리고, 한국문학 발전을 위한 <둔촌(遁村) 이집(李集) 문학상>을 제정하고 첫 수상자를 선정했다.

17일 오후 3시 동숭동 함춘회관에서 진행된 시상식에서 홍성암 소설가가 본상을, 한새빛 시인이 우수상을 받았다.

▲ 제1회 둥촌이집문학상...본상 수상자 홍성암 소설가(동덕여대 총장대행)와 김건중 문학상 운영위원장 © 한철수기자

이 문학상은 광주이씨대종회와 한국작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이날 시상식에는 광주이씨대종회 이옥재 도유사와 각 종파 도유사들, 한국작가 협회장 김건중 소설가, 우한웅 소설가(전 서울대 교수. 심사위워장), 신세훈 소설가 (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순수문학 박영하 발행인 등 200여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수상자 홍성암 소설가, 한새빛 시인...약력과 작품집 소개

홍성암 소설가는 고향 강원도 강릉을 소재로 한 소설집 <영진리블루>, 한새빛 시인은 나무를 주제로 한 연작시 <나무>로 선정됐다.

홍성암은 1942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났으며, 한양대 대학원 국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수료 받았다. 1988년 <한국 근대 역사소설 연구>로 문학박사를, 1980년 <겁화경>으로 신인상을 받았다. 1981년 <조기>현대문학에 추천 문단 데뷔하였으며, 한국소설가 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회원, 국제펜 한국본부 이사. 한국작가교수회 상임 부회장, 한민족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2018년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총장 직무대행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큰물로 가는 큰고기, 어떤 귀향, 가족, 모깃불, 세발까마귀의 고독, 다리가 없는 통닭> 등이 있고, 대하역사소설 <남한산성(9)> 있다. 1997년 한국소설문학상, 2000년 한맥문학가협회상을 수상하였다.

▲ 제1회 둔촌이집문학상...우수수상 수상자 한새빛 시인과 김건중 문학상 운영위원장 © 한철수기자

한새빛 시인은 충북 충주 출생으로 한국문협이사, 국제PEN클럽 기획위원, 경기문협회장, <한국작가>발행인, 경기도문학상, 경기예술대상, 성남예술 대상 등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꽃불, 꿈속으로, 나의 계절, 나무의 외출, 꽃의 반란> 등이 있다.

-옛 광주고을 전역...둔촌문학 행사 열려

한편 광주이씨대종회에서는 둔촌선생을 기리기 위해 경기도 광주시에서 둔촌백일장, 경기도 성남시에서 둔촌 청소년 문학상백일장·둔촌 한시백일장·둔촌문화제를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 청소년백일장등을 펼치고 있다.

또한 중국 심양에서 조선족을 대상으로 한 둔촌중국백일장과 한중 한시낭송회 등을 진해유하고 있다. 올해 한국작가와 기성문인을 대상으로 제1회 둔촌문학상은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 둔촌 이집 선생 초상화 © 한철수 기자

-강동구 둔촌동 지명유래...이집의 호에서 나와

고려 말 문신 이집이 신돈의 숙청을 피해 몸을 숨겼던 곳으로 당시 현 둔촌주공아파트 동쪽에 있는 야산에 굴이 많아 이집 선생이 그 굴에 몸을 숨기면서 후손들에게 자신의 고생을 기억하라는 의미로 둔촌이라고 호를 지었다고 하며 둔촌동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동명이다.

참고로 둔촌 이집의 묘역은 오늘날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데, 이 일대를 지나는 도로의 이름이 이를 반영한 둔촌대로이다. 묘역은 2008526일에는 경기도기념물 제219호로 지정됐다.

-둔촌 선생은 고려말 충신...한음 이덕형의 8대 조부

둔촌 이집 선생의 본관은 광주이고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호연(浩然)로 광주 향리 이당(李唐)의 아들로 1327년에 태어났다.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은 이집 선생이 호에서 나왔다.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문장을 잘 짓고 지조가 굳기로 명성이 높았다. 공민왕 17(1368) 신돈의 미움을 사 생명의 위협을 받자, 가족과 함께 영천으로 도피하여 고생 끝에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1371년 신돈이 주살(誅殺)되자 개경으로 돌아와 판전교시사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여주 천녕현에서 재야에 묻혀 살면서 시를 지으며 살다가 1387년 61세로 일생을 마쳤다.

▲ 제1회 둔촌이집문학상...이집묘역(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19호) © 경기문화연구원

그의 시에는 꾸밈과 우회보다는 직서체(直敍體)에 의한 자연스럽고 평이한 작품이 많다. 그는 당시 임심문을 비롯한 60명에 달하는 많은 인물들과 시로써 교유하였다. 특히, 이색·정몽주·이숭인 등과 교유했다.

<동국여지승람>에 그가 조선조에 벼슬을 지냈다고 잘못 기록된 것을 8대 손인 이덕형이 광해군3(1611)에 바로 잡았다. 광주 구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둔촌유고>가 있다.

 

원본을 보시려면 아래 주소로 가시면 됩니다.



 

 

 


댓글
작성자 : 비밀번호 :
이전글 제1회 둔촌이집문학상 기사보냅니다2018/09/21
다음글 Re : 족보알고싶습니다.2015/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