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천부원군파종회

Home/지파종회안내/광천부원군파종회


광천부원군 휘 극증의 묘소 전경

경향의 유림(儒林)들이 명문(名門)을 論할 때 으례히 오극가(五克家)를 들어 稱頌하기를 마지 않는 故로 내가 마음으로 거룩하게 여긴지가 오래였다. 금년 봄이 영재(李寧載)가 그의 족친 종태장(鍾泰丈)과 같이 보첩과 행장(行狀)을 가지고 나에게 부탁하기를, 「 우리 선조 광천군(廣川君)의 묘가 광주(廣州)의 남쪽 塔洞 자좌(子坐) 언덕에 있는데 옛날부터 단갈 (短碣)이 있으나 벗겨져서 읽을 수 없으며 비석이 낮을 뿐 아니라 문장 또한 심히 간략하여 볼 품 없다 일러 오던 차에 이번 여러 후손들이 상의하여 사기(史記)와 제현 의 기록을 모아 공의 행적(行蹟) 대강을 찬술(撰述)하 여 보았으나 십분의 일에 미치지 못하긴 하지만 나에 게 명문(銘文)을 지어 달라」 하기에 나는 영구히 전할 글이므로 굳이 사양하였으나 强請함을 이기지 못하여 그 행장(行狀)을 살피건대 공의 휘는 극증(克增)이요 자는 경휘요 호는 삼봉(三峯)이니 광주인(廣州人)이다.

광주이씨는 고려 국자생원(國子生員) 휘 당(唐)으로부터 出系하니 곧 공의 고조가 되며 증조의 휘는 집(集)이요 호는 둔 촌(遁村)으로 과거에 올라 벼슬이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이르렀고 척당강개하여 文名이 높았으며 목, 포, 도(牧圃陶) 三隱과 道義交하였다. 일찍이 辛旽에 거슬려 영남 땅에 숨었다가 旽이 誅殺된 後 上京하여 얼마 후 卒하였다. 祖父의 諱는 之直이며 直道로 太宗을 섬기면서 昭悼之變을 당하여 몸을 던져 諫言타가 譴黜을 당하고 廣州田舍에 寓居하였다. 太宗이 末年에야 東宮(世宗)에게 李某는 버리지 말고 厚히 쓰라 諭示하여 世宗이 卽位한 後 刑曹右參議로 다시 徵召하였으나 赴任치 못하고 卒함에 領議政을 追贈하였다. 先考의 諱는 仁孫인데 戶曹判書를 세 번 歷任하는 중 널리 德化로써 王을 輔弼하니 右議政에 승진되었고 諡號는 忠僖이다. 비는 貞敬夫人 交河盧氏 別將 信의 따님으로 五克을 낳았다. 克培는 領議政으로 諡號는 翼平이며 克堪은 判書로 諡號는 文景이고 그 다음이 公이시다.

克墩은 左贊成으로 諡號는 翼平이며 克均은 左議政이시다. 모두가 學業에 힘써 登科함에 이르러 벼슬이 蟬聯(매미가 한 마리 울면 따라서 운다는 뜻)하듯 하였고 다 功을 세워 封君되었다. 그러므로 지금도 길 가는 사람(行路)마다 그 옛 터를 가르켜 五君골이라 讚歎하여 마지 않는다. 공은 세종 신해(辛亥一四三一)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문재(文才)가 있어 문종 신미(辛未一四五一) 생원시험에 입격하여 음보(蔭補)로 종묘녹사(宗廟錄事)가 되고 세조 병자(丙子一四五六)에 문과에 급제한 후 바로 군기시직장(軍器寺直長 종七품)에 제수되었다. 얼마후에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를 거쳐 이조좌ㆍ정랑 (吏曹佐正郞)에 옮겼으나 언제나 서연관(書筵官)을 겸하였다. 세조 계미(癸未一四六三)에 성균관직강(成均官直講)겸 의 정부검상(檢詳)에 옮겼다가 바로 사인(舍人)에 올랐을 때에 조정의 공론이 학문을 크게 일으키려 하는데 그에 당할 사람을 얻기 어렵더니 공조판서 구종직(丘從直)이 公의 학술이 정밀심오(精密深奧)하다 하여 천거하였다. 때마침 이시애(李 施愛)가 난을 일으킴에 곧 公을 정략장군 부호군(定略將軍副護軍)에 옮겨 선전관(宣傳官)을 겸하게 하고 날마다 입시(入侍)하라는 영이 있어 반란을 토벌하는 계획을 찬획함에 상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올랐고 여러번 승진하여 좌승지(左承旨)에 이르렀다.

예종이 즉위함에(睿宗卽位年 一四六八)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을 겸임하였으며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 戴功臣)에 책봉되기에 이르러 위계(位階)가 가선(嘉善)에 오르고 廣川君으로 封하고 교서가 내리기를「예로부터 화난(禍難)에 이겨 난리를 평정하는 것이 반드시 무부(武夫)만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한(漢)나라 유후(留侯:張良을 가리킴)가 유자(儒者)의 기상(氣象)이 있었으므로 한고제(漢高帝)가 일컫기를「주책(籌策)을 세우는데 여(余)가 그대만 같지 못하다」라고 하였는데 오늘날 여가 경에게서 보았노라 하고 도승지(都承旨)에 특진하니 일찍이 전례가 드문 일이었다. 성종 경인(庚寅 1470)에 위계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고 이조판서가 되었을 때 국가 경비 지출이 절제가 없었으므로 공이 횡간식례(橫看式例)를 창안(創案)하여 비록 소소한 지출(支出)일지라도 반드시 재결(裁決)을 거치도록 결정하니 지금의 예산서(豫算書)와 같은 것이다.

이후로 수입과 지출이 명확하여 정도에 알맞게 처리되어 차질이 없고 신뢰할 만 하였으나 사간원(司諫院)에서 횡간식례 (橫看式例)가 그릇된다고 헐뜯고 꼬집어 파직(罷職)토록 상소하였으나 윤허(允許)치 않았다. 다음 해 가을 호조판서에 옮겨 橫看式例일이 순탄하게 이루어지니 이에 君臣間의 契合이 더욱 굳어지게 되니 비로소 헐뜯는 일이 없어졌다. 공은 또 전제상정(田制詳定)과 가뭄으로 인하여 주리는 백성에게 곡식을 도와주는 상소의 내용이 아주 간결하매 왕이 모두 따랐다. 성종 정유(丁酉 一四七七)에 왜구(倭寇)가 호남을 엿보자 공을 전라관찰사를 겸하여 제수하고 진압하게 하니 마침내 무사하게 되었다. 무술년(戊戌 一四七八)에 내직인 의정부우참찬에 들었다가 얼마 후에 병조판서에 옮기니 남북의 양 경계에 흉악한 오랑캐가 있었으므로 공의 인격과 위엄으로 조용히 다스리고저 함이었다. 壬寅 一四八二)에 좌참찬 (左參贊)에 올라 정사(正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온 후 시관(試 官)이 되어 인재(人材)를 골라 뽑았다. 공은 병조판서 두 번, 참찬을 네 번 역임하고 갑진년(1484)에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승진되어 판중추부사겸 동지성균관사(判中樞府事 兼同知成均館事)로 문묘(文廟)를 증수(增修)하면서 동서무제도를 마련하여 넓히고 또한 재숙소(齎宿所)를 정록청(正錄廳) 북쪽에 두었으며 성균관사(成均館舍)를 개축하여 일신케 하니 이로 因하여 학문을 숭상하는 기풍이 크게 진작(振作)되었다. 무신(戊申 1488)에 한성판윤(漢城判尹)에 옮겨 경륜으로서 태평하게 다스리었다. 이에 앞서 대전(大典)과 새로 마련되는 법조문(法條文)이 서로 어긋나 백성이 행할 바를 알지 못하므로 公이 임금의 명령에 따라 속록(續錄)을 편찬(編纂)한 이후로 백성들이 편리하게 되었다.

계축년(癸丑 1493)에 다시 광천군에 봉군(廣川君封君)되고 다음 해 갑인(甲寅 1494) 3월 25일에 졸하니 향년 64세이다. 임금이 부음을 듣고 애도(哀悼)하여 마지 않았고 조회와 저자를 페하며 예에 따라 예장(禮葬)하고 세사 부조와 공장(恭 長)의 시호가 내렸다. 아! 공이 하세하신지 거금 五百년인데 가문(家門)에는 문헌이 흩어져 없어지고 얼마 전하지 않으나 다행하게도 왕조실록(王朝實錄)이 있어 史官의 말이 참되고 거짓이 없으매 可히 證據할만한지라 거기에 이르기를「公은 성격이 정직하고 독실(篤實)하며 분화(紛華)함을 좋아하지 않고 부지런하며 공손하여 나라 일 처리를 집안 다스리듯 한다」하였으며 또한「참으로 나라에 이롭게 된다면 사람의 말을 듣지 않고 實踐에 옮겼다. 삼조(三朝)를 섬겨 뛰어난 공적과 명성(名聲)이 세상에 높았다」라는 세 가지 말로도 공의 행적을 짐작할만 하다 하겠다. 흔히 「세상을 잘 다스려 백성의 괴로움을 구제하여 평온하게 하겠다」하는 사람도 그 事實을 알아 보면 말과 같지 않은 사람이 있는데 이와 어찌 비교할 수 있겠는가? 정경부인 청풍김씨(淸風金氏)는 부사 이(府使 理)의 딸로 묘는 합부하였으며 다섯 아들을 낳았으니 목사를 지낸 세홍(世弘)과 세헌(世憲) 세의(世毅) 세강(世康) 세석(世碩)인데 세홍의 아들 복명(復命) 부사와 복흥(復興) 복창(復昌) 진사 복신(復新) 복석(復碩) 복성(復成)을 낳고 세의(世毅)가 아들 경헌(敬憲)을 낳았는데 증손, 현손 이하는 번잡하여 기록하지 않는다.銘하여 가로되

承政院都承旨로 밀계주책(密計籌策) 찬획하여 君封받고 宗伯이 되었고
높은 뜻 백성에게 은덕(恩德) 베풀어 모든 政事 여유있게 다스렸다네.
나라 살림 횡간식례(橫看式例) 창안(創案)하여 국고경비(經費) 차질(蹉跌)이 없어졌다네.
생트집 우뢰같은 사간원 탄핵(司諫院 彈劾) 모함하여 헐뜯어도 겁내지 않아,
그 일 마침 모두가 이루어져 나라에서 신뢰함이 흐뭇하구나.
탁지(度支) 벼슬 호조판서 지내고 병조판서 사마(司馬) 벼슬 두루 겪을 때,
남쪽 바다 왜구 소굴(倭寇巢窟) 두르려 치고 북녘 땅 오랑캐도 쫓아 버렸네.
놀(霞)의 독기 벌써 다 가셔 버리고 맑은 햇살 더욱 더 밝아졌구나.
묘당(廟堂)의 높은 자리 올라 앉아서 군신(君臣)간에 나라 일 의논(議論)하였네.
때에 따라 특이(特異)한 일 하도 많은데 소중한 나라 법전(法典) 서로 엇갈려,
대전속록(大典續錄) 만들어 왕(王)께 바친 뒤 백성들 행동거지(行動擧止) 깨치게 됐네.
晩年에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가르쳐 타이르기 정성 다하고,
기나긴 밤 등불 밝혀 밤을 낮 삼아 한평생 다하도록 힘써 일했소.
참되고 곧은 성격 진실하여서 언제나 변함없이 시종이 여일.
三朝를 살펴볼 때 비길만한 인물이 그 누구일까?
나의 명사(銘詞) 아첨하는 유사(諛辭) 아니라 청사(靑史)에 찬란하게 빛나고 있네.

단기四千三百十八年乙丑二月 日
국민대학교수 고령인 김도련 삼가지음